하로 가고 이틀 가고 열흘 가고 한 달 가고
날 가고 달 가고 해가 지낼 수록
임의 생각이 뼛 속에 든다
"도련님 계실 적에난 밤도 짤루어 한 (恨)이더니
도련님 떠나시던 날 부터는 밤도 길어 원수로구나
도련님 계실 적에 바느질을 헐 량이면
도련님은 책상 놓고
대학 (大學) 소학 (小學) 예기 (禮記) 춘추 (春秋)
모시 (毛詩) 상서 (商書) 백가어 (百家語)를
역역히 외어 가다 나를 힐끗 돌아 보고
와락 뛰어 달려 들어 나의 목 부여 안고
얼시구나 내 사랑이지 허던 일도 생각키고
무심코 앉으셨다 귀에 대고 놀래기와
그 중 더욱 간절 (懇切)헌 게 임의 이별 오기 전에
주련 (柱聯) 한 장 쓰시기를
시련유죽산창하 (始憐幽竹山窓下)에
불개정음대아귀 (不改情陰待我歸)를
붙여 두고 보라기에 심상 (尋常)히 알았더니
이제 와 생각을 허니 이별을 당헐라고
시참 (詩讖)으로 쓰셨던가 임의 생각이 점점 나네
행궁견월상심색 (行宮見月傷心色)에
달만 비쳐도 임의 생각
춘풍도리화개야 (春風桃李花開夜)에
꽃만 피어도 임의 생각
야우문령단장성 (夜雨聞鈴斷腸聲)에
비 죽죽와도 임의 생각
추절 (秋節)가고 동절 (冬節)이 오면
명사벽해 (明沙碧海)를 바라보고
뚜루루루루루루 낄룩
울고가는 기러기 소리에도 임의 생각
앉어 생각 누워 생각 생각 끊일 날이 전혀없어
모진 간장 (肝腸) 불이 탄들 어느 물로 이 불을 끌거나
아이고 아이고 내 일이야 이를 장차 어쩔거나"
이리 앉어 울음을 울며 세월을 보내는구나
춘향은 이렇 듯 눈물로 세월을 보낼 적에
그때여 구관 (舊官)은 올라 가시고 신관 (新官)이
도임 (到任)을 하시난디
이 양반은 서울 자하 (紫霞)골 사는
변 (卞) 학 (學)자 도 (道)자 쓰는 양반으로
탐 (貪)많고 욕심 많고 호색 (好色)하는 분으로써
남원의 성춘향이가 절세미인이라는 말을 듣고
밀양 (密陽) 서흥 마다허고 간신히 서둘러서
남원부사를 하여 내려 오시난디
신연절차 (新廷節次)가 이렇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