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 춘향집 들어서는데

조상현


춘향모: (아니리) 여보아라, 향단아. 한양 너의 서방님이 오셨다.
향  단: (잦은 중몰이) 서방님, 향단이 문안이요. 대감마마 행차후에 기체 안녕 하옵시며, 서방님도 먼먼길에 노독이나 없이 오시니까? 살려주오, 살려주오, 옥중 아씨를 살려주오.
도  창: (중몰이) 초마 자락 끌어다가 눈물을 씻치면서 훌쩍훌쩍 울음을 우니, 어사또 기가막혀
어사또: (중몰이) 오냐 향단아 우지마라. 내가 아무리 이 모냥이 되았은들 설마 너으 아씨 죽는 꼴 보겠느냐? 우지를 말라면 우지마라. 충비로다, 충비로구나. 내 향단이 충비로다.
어사또: (아니리) 얘 향단아, 시장허다 밥 있거든 한술 가져 오너라.
춘향모: (아니리) 얘 향단아, 우선 촛불 하나 가지고 오너라
도  창: (아니리) 촛불을 들고 어사또 얼굴을 물구러미 바라보더니,
도  창: (늦은 중몰이) 들었던 촛불을 내던지고,
춘향모: (늦은 중몰이) 죽었구나, 죽었구나. 내 딸 춘향이는 영 죽었네. 못 믿겄네, 얼굴을 보니 못 믿겄네. 책방으 계실때난 보고 보고 또 보아도 귀골로만 생겼더니, 걸인 모냥 웬일이여? 전라 감사나 암행어사가 양단간으 되여 오라 주야 축수로 빌었더니 팔도 상걸인이 되여 왔네.
도  창: (중몰이) 후원으로 우루루루루루 들어 가더니 정화수 그릇을 와그르르르 탕탕 부딪치니 시내 강변이 다 되였네. 그 자리에 퍽썩 주저앉어 퍼버리고 울음을 운다.
어사또: (아니리) 여보, 장모. 울지만 말고 시장허니 밥 있거든 한술 주소
춘향모: (아니리) 자네 줄 밥 없네
향  단: (잦은 중몰이) 여보 마나님, 그리 마오. 아씨님 정곡을 아니 잊고 불원천리 찾어오신 정곡 대면박대는 못허리다.
도  창: (중몰이) 부엌으로 들어가서 먹든 밥, 채김치, 냉수 떠받쳐 들고.
향  단: (중몰이) 여보, 서방님. 더운 진지 지을 동안으 우선 요기나 허옵소서.
도  창: (아니리) 어사또 밥을 먹되 미움채를 주느라고 휘몰이로 달아놓고 밥을 먹겄다
도  창: (휘몰이) 먼 산 호랭이 지리산 넘듯, 두꺼비 파리 치듯, 중 목탁 치듯,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고수 북 치듯, 후딱 후딱,
어사또: (아니리) 어, 잘 먹었다
춘향모: (아니리) 잡것, 밥 많이 빌어 먹었다. 자네 밥 먹었는가? 밥 총(총) 놓제
어사또: (아니리) 아까는 시장하야 내 어쩐 줄 모르겄더니 이제 오장 단속을 떡 하고 나니 춘향 생각이 나네
춘향모: (아니리) 그러겄네. 그러나 저러니 파루나 치거든 가세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조상현 춘향집 건너가는데  
사랑과 평화 어사 박문수  
조상현 사랑가  
조상현 사철가  
조상현 초입  
조상현 신연맞이  
조상현 군로사령 나가는데  
조상현 적성가  
조상현 농부가  
조상현 박석치 올라선데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