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가(운담풍경)

김수연
(아니리)
하로난 심청이 부친 전 단정히 꿇어앉아 “아버지” “왜야” “아버지 오날부터는 아무데도 가시지 마옵시고 집에 앉아 계시오면 제가 나가 밥을 빌어 조석공양 하오리다” 심봉사 기가 맥혀 “여 보아라 청아 내 아무리 곤궁헌들 무남독녀 너 하나를 밥을 빈단 말이 될 말이냐 워라 워라 그런 말 마라”
(중모리)
“아버지 듣조시오 자로난 현인으로 백리의 부미허고 순유 딸 제영이난 낙양옥에 갖힌 아비 몸을 팔아 속죄허고 말 못하는 까마귀도 공림 저문 날의 반포은을 헐 줄 아니 하물며 사람이야 미물만 못 하리까 다 큰 자식 집에 두고 아버지가 밥을 빌면 남이 욕도 할 것이요 바람 불고 날 추운디 행여 병이 날까 염려오니 그런 말씀을 마옵소서”
(아니리)
심봉사 기가 맥혀 “여봐라 청아 너 이제 허는 그 말 어데서 배웠느냐 너의 어머니 뱃 속에서 죄다 배워 가지고 나왔느냐 넌 성의가 그럴진대 한 두 집만 얼릉 댕겨오너라”
(중모리)
심청이 거동 봐라 밥 빌러 나갈 적에 헌 베 중의 다님 메고 말만 남은 헌 초마에 깃 없는 헌 저고리 목만 남은 길보신에 청목 휘양 둘러쓰고 바가지 옆에 끼고 바람맞은 병신처럼 옆 걸음쳐 나갈 적에 원산의 해 비치고 건너 마을 연기일 제 주적주적 건너가 부엌 문전 다다르며 애근이 비는 말이 “우리 모친 나를 낳고 초칠 안에 죽은 후에 앞 못 보신 우리 부친 저를 안고 다니시며 동녕 젖 얻어 먹여 요만큼이나 자랐으나 앞 못 보신 우리 부친 구완할 길 전혀 없어 밥 빌러 왔아오니 한 술씩만 덜 잡수고 십시일반 주시오면 추운 방 우리 부친 구완을 허겄내다” 듣고 보니 부인들이 뉘 아니 슬퍼허리 그릇 밥 김치장을 애끼잖고 후이 주며 혹은 먹고 가라허니 심청이 엿자오되 “추운 방 우리 부친 날 오기만 기다리니 저 혼자만 먹사리까 부친 전에 가 먹것네다” 한 두 집이 족헌지라 밥 빌어 손에 들고 집으로 돌아올 제 심청이 허는 말이 “아까 내가 나올 때는 원산의 해가 조금 비쳤더니 벌써 해가 둥실 떠 그새 반일이 되었구나”
(자진모리)
심청이 들어온다 문전에 들어서며 “아버지 춥긴들 아니 허며 시장인들 안 허리까 더운 국밥 잡수시오 이것은 흰밥이요 저것은 팥밥이요 미역 튀각 갈치 자반 어머님 친구라고 아버지 갖다 드리라 허기로 가지고 왔사오니 시장찮게 잡수시오” 심봉사 기가 막혀 딸의 손을 부여다 입에 대고 후후 불며 “아이고 내 딸 춥다 불 쬐어라 모진 목숨이 죽지도 않고 이 지경이 웬 일이냐 너의 모친이 살았으며 이런 일이 있겠느냐”

가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