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뱅이굿(1)

김주호


김주호는 평안도 출신으로 보이나 분명한 것은 알 길이 없다. 김주호는 일제 때 서도소리 명창으로 이름을 떨쳤는데, 배뱅이굿 등 서도서리도 취입하였지만 주로 ‘영감타령’과 같은 재담소리와 민요를 많이 취입하였다.
김주호의 배뱅이굿 음반은 보기 힘든 편이며, 이 빅터 음반에 취입된 것이 아마 그의 유일한 배뱅이굿 녹음이 아닌가 싶다. 다행이 빅터 원반에 그의 녹음이 남아 있어 이번에 복각된 것이다. 이 배뱅이굿은 2장 4면에 담기어 있는데, 대체로 김종조의 배뱅이굿과 극적 짜임이나 사설이 유사하다. 따라서 김주호와 김종조의 배뱅이굿은 같은 바디로 보이는데, 김주호의 기량은 김종조에 견주어 처진다 할 것이다.
<제1면> 여기서는 아이 어르는 ‘둥둥타령’과 배뱅이 행상 타령이 담겨 있다. 소리제는 김종조와 같으나 간략하게 축소되어 있다.

장고 : 한문필
원반 : Victor KJ-1071(KRE 105)
녹음 : 1936. 2. 29

(아니리)
때는 송도 말년이었다. 세상이 분분하니깐 누대명문 배정승은 퇴로 낙향하야 원기인간 천만사에 강호연월 반사군하고 운겨월조로 한가한 세월을 보내는데, 슬하일점 열육이 없어 매양 근심이 된 모양이더라. 하로는 부인이 영감을 대하야,
“여보 영감, 만고성현 공부자도 이구산에 빌어 났더니, 우리도 지성이나 빌어보았으면.”
“지성으로 자식보면 무자하리 뉘 있겠소? 생각이 그러하면 좋도록 하오.”
그날부터 명산을 찾아가 백일을 마친 후, 그달부터 태기 있어 십색을 고이 채워 딸 하나를 낳았는데 일흠을 배뱅이라 짓고, 애지중지 길러낼 제, 노인 부부는 귀여라고 둥둥가를 하는 대목이었다.

(창 : 중중몰이 평조)
“둥둥 내 딸이야, 어둥둥 내 딸이야. 하날에서 떨어졌나, 땅에서 불끈 솟았나, 광풍에 펄펄 날어 왔나. 포진가 숙향이가 니가 되어 나왔는가. 하날에 직녀성이 니가 되어 나왔느냐. 둥둥 내 딸이로군. 어둥둥 내 딸이야.”

(아니리)
세월이 여류하야 십오륙 세가 되니 녀공에 침선이며, 배호지 않은 사서삼경, 만사에 달통허니, 원근 동리 자식 둥 사람들은 숙녀 있단 말을 듣고 청간이 부절할 제, 고문대가에 아마 허흔이 되었던 모냥이라. 내장 받어놓고 침질하다 배뱅이는 하품을 한 두어 번 하더니 몸살인지 입살인지 어깨넘어 등살인지 아다마 뒤통수가 자근자근하고 백약이 무효하야 고만 죽어노니, 부모는 떴다 공중에 떨어지며 복침통곡 서러할제, 부인은 좀 대범하던 모양이라.
“영감 사자는 불가부생이라. 다시 살아올 리 만무하니 장사나 훌륭히 잘 하여 줍시다.”
의금관곽 정히 하야 스물 네 명 상두군은 얼럴럴 발 맞추어 선산으로 나갈 적에,

(창 : 중중몰이 남.서도토리 섞임)
“너너 너호 너화넘차 너호.
이번 가면 언제나 올꼬. 다시 올 길이 막연하구나.
너너 너호 너화넘차 너호.
서산 명월은 다 넘어 가고 적수비풍이 슬슬 분다.
너너 너허 너화넘차 너허.
불쌍한 배뱅이가 황천길이 웬 일인가.
너너 너화 너화넘차 너허.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김종조 배뱅이굿(1)  
김주호 배뱅이굿(4)  
김주호 불림  
김주호 맹인경  
김주호 배뱅이굿(2)  
김주호 배뱅이굿(3)  
김주호 자진염불  
김주호 일요일엔 내가 재밌게 해줄게  
김종조 배뱅이굿(4)  
김종조 배뱅이굿(5)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